재미와 반전을 동시에 품은 영화
2019년 5월 30일에 개봉된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작품이며 드라마 장르로 상영시간은 131분이다. 주요 출연배우로는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등이며, 등장인물들의 계층에 대한 풍자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봉준호 감독만의 예리한 시선과 해석을 영화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 각종 영화제에서 많은 수상을 했으며, 한국의 박스오피스 흥행수입 기록 또한 경신했다. 한국 영화의 한 획을 그은 영화로 코미디와 서스펜스의 경계를 넘나들며 관객들에게 신선한 영화의 재미를 선사한다.
비좁은 반지하 빌라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비좁은 반지하 빌라에 사는 네 명의 가족이 있다. 가장인 기택, 어머니 충숙, 그리고 장남인 기우와 딸 기정이 있다. 가족들 모두가 일자리가 없어 백수로 살아가지만 사이는 좋다. 어느 날 장남 기우에게 명문대생 친구가 연결시켜 준 고액 과외 자리는 가족 모두의 희망이 되고 온 가족의 기대 속에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동익의 대저택에서 영어 과외교사로 일하게 된다. 이후 기우는 가족들 모두가 박동익 사장의 집에서 일할 수 있도록 작전을 실행한다. 이렇게 가족 모두가 대저택에서 일하게 되고 상류층의 호화로운 생활을 몰래 즐기게 되지만 기택의 가족을 향한 가정부의 의심은 대반전의 시작을 알린다. 영화의 후반부로 진행되며 결국 기택의 가족들을 둘러싼 진실들이 하나둘씩 밝혀지며 극 중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충격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롤러코스터 같은 이야기 전개와 진행방식
영화의 결말이 봉준호 감독의 이전 작품들보다 더욱 절망적이다. 영화 "괴물"에서는 딸을 잃었지만 양아들을 받아들이며 일상을 이어가고 영화 "설국열차"에서는 대부분의 인물이 죽었지만 봉준호 감독이 밝혔듯이 해피 엔딩이자 열린 결말이었다. 하지만 이 영화 "기생충"은 어떠한 꿈도 희망도 없다. 기존 영화에서는 피해자의 관점에서 영화가 진행된다면 이 영화에서는 가해자의 관점에서 영화가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결말이 더욱 암울해질 수밖에 없었고 가해자인 기택의 가족들로 인해 잘못이 없던 박동익 사장과 그의 가족들은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봉준호 감독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냥 보고 나서 온갖 생각이 드는 영화였으면 좋겠다. 보고 나면 웃기기도 하고, 섬뜩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갈래 없이 드는 생각들 속에서 술잔을 기울이고 싶은 마음이 드는 그런 영화가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관객들의 입장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다양한 복선과 떡밥들을 자신들의 생각에 빗대어 해석하고 찾아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이런 부분들이 영화를 제작한 봉준호 감독의 큰 그림이 아니었나 싶다. 지극히 한국적인 시각에서 영화를 전개해 나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전 세계적인 보편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주제의식과도 닿아있다. 그래서 해외의 반응들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이야기 같다"는 평이 많을 수밖에 없는 것 같고 그런 공감대를 바탕으로 감독의 치밀한 구성과 연출 그리고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이 뒷받침되며 명품 영화가 탄생되었다고 본다.
이 장면, 이 대사는 참 기억에 남아
관객들이 꼽는 명대사와 명장면은 많으나 가장 기억에 남는 명장면 중 하나는 장남 기우와 딸 기정이 박동익 사장 대처택 문 앞에서 부르던 일명 "Jessica Jingle"이다. 이 노래는 독도는 우리 땅의 곡에 개사를 해서 부른 제시카 핵심 요약송이다. 특히나 해외 관객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며, 심지어 북미 영화 배급을 맡았던 Neon에서는 박소담 배우에게 부탁해 노래 배우기 영상을 별도로 촬영하여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명대사라기보다는 개인적으로 씁쓸하게 들렸던 대사가 있다. 기택이 박동익 사장의 아내 연교를 만나고 와서 "그 집 사모님은 부자인데도 착해"라고 하자 그의 아내 충숙이 "부자니까 착한 것, 내가 부자라면 나는 더 착할 수 있다. 돈이 구김살을 펴주는 다리미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이다. 현대 자본주의식 계급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국내외 각종 영화제를 휩쓸다
대표적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각본상, 외국어영화상), LA 비평가 협회상 (작품상, 감독상, 남우조연상), 시드니 영화제 (작품상), 토론토 국제영화제 (관객상), 밴쿠버 국제영화제 (관객상),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외국작품상), 전미 비평가 협회상 (작품상, 각본상),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부문 앙상블상), 런던 비평가 협회상 (작품상, 감독상), 청룡영화제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미술상),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시나리오상, 여우조연상, 음악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대상, 영화작품상, 영화남자신인연기상) 등이 있으며 이외의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을 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Howl's Moving Castle), 인생의 회전목마를 타고 (0) | 2023.01.20 |
---|---|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Spirited Away), 지브리 스튜디오의 명작 속으로 (0) | 2023.01.19 |
영화 사운드오브뮤직(The Sound of Music), 그 아름다운 음악 여정 (0) | 2023.01.19 |
영화 미션(The Mission), 아름다운 영상미와 OST (0) | 2023.01.19 |
영화 굿윌헌팅(Good Will Hunting), 마음을 치유하는 아름다운 명작 (0) | 2023.01.18 |
댓글